728x90

머리말

SAP의 마스터 데이터가 무엇이고 SD관련 마스터 데이터 중 3가지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본다. Customer(business partenr)에 대한 내용은 나중에 제대로 다루고, Pricing도 간단하게 다루고 나중에 제대로 세세히 살펴본다. 

  1. Material Master
  2. Customer-Material info records
  3. Pricing condition master records

1. Material Master

SAP에서 마스터 데이터란 회사의 고객, 임직원, 공급자, 제품, 자산 등에 관한 비즈니스 데이터를 뜻한다. 트랜잭션 데이터는 기업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데이터를 뜻한다. 예를 들면 자재 '1001'은 마스터 데이터이지만 이 자재를 판매하는 주문정보인 Sales Order는 트랜잭션 데이터이다. 회사의 유형 자산인 건물 'A001' 마스터 데이터이지만, 해당 건물의 감가상각비를 처리한 회계전표는 트랜잭션 데이터이다.

1.1. Maintaining Material Master ( 관련 T-CODE : MM01, MM02, MM03 )

SD 모듈에서 비즈니스 트랜잭션이 처리되는 동안, 많은 데이터가 마스터 데이터에서 Sales Document로 전달된다. 이 데이터들은 다시 Delivery(Shipping), Billing 문서들로 전달되며 처리된다. 그러므로 미리 비즈니스 트랜잭션을 발생시키기 전에 정확한 마스터 데이터를 만들어 놓아야 한다. 이 마스터 데이터들은 몇몇 조직 구조 레벨(ex. Sales Org, Plant 등)에서 정의되기 때문에 정확한 값으로 마스터 데이터를 확장해 두어야 제대로 비즈니스 트랜잭션이 수행된다. 

Material 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먼저 Industry Sector와 Material Type을 지정해야 한다.

  • Industry Sector : 자재가 속하는 산업을 정함(retail, chemical, mechanical engineering), 자재의 industry sector가 자재가 가지고 있어야할 필드와 자재 정보화면(MM01,MM02,MM03)의 스크린 순서를 정한다. 즉, 어떤 view와 필드들을 가질 지 미리 정의된 템플릿을 정하는 값이다.
  • Material Type : 비슷한 성격으로 그룹화하기 위한 값(services, trading goods, raw materials 등). 자재 번호를 내부적으로 채번할지 외부적으로 채번할 지 정하거나, 가치 평가를 이동평균법으로 할 지, 표준원가법으로 할 지 정하는 기준이 된다. 또한, Industry Sector와 마찬가지로 스크린의 순서와 필드 여부를 결정하는 값으로 쓰인다.

Industry Sector, Material Type

  • DIEN - Service : Storage 데이터가 없고 생산되거나 벤더로부터 공급받을 수 없는 자재 유형이다.
  • FERT - Finished Product : 제품, in-house로 제조하는 상품이며 구매될 수 없는 자재 유형이다.
  • HAWA - Trading Goods : 벤더로부터 구매한 자재로 추후 따로 추가적인 변형을 거치지 않고 고객에게 판매하는 자재 유형이다.
  • KMAT - Configurable Materials : 기본 자재(Material) 코드 하나로 다양한 변형 제품을 생성가능 (Customizing 가능)
  • NLAG - Non-Stock Material : 무형의 자재들을 나타냄, 대표적으로 소프트웨어와 라이센스, 접근권한(구독 등)이 있음.

 

1.1.1 Material Master Views

Material Master는 앞서 이야기했듯, 여러 조직단위로 나뉜다. 각 단위별로 나뉜 단위별로 할당받은 데이터 집합 각각을 view라고 한다. 아래와 같이 여러 view가 있다. Basic data는 말 그대로 기본적인 정보이며 모든 부서가 공유하는 공통 데이터이다. view 이름에서 알 수 있듯 Sales views는 영업 관련 부서, Purchasing과 MRP는 구매, 자재관리 모듈, Accounting은 회계 등 각각의 부서에서 직접 마스터 데이터를 관리한다. 해당 부서의 담당자들이 각 마스터 데이터 뷰의 데이터를 정하고 유지보수한다.

Material Master views

  • Maintenance status : 자재가 어떤 view가 유지보수되었는지(확장되었는지) 나타내는 필드값(MARA, MARC table 등에 있다)
User department Maintenance status
Accounting B
Basic data K
Classification C
Costing G
Forecasting P
MRP D
Plant stocks X
Production resources/tools F
Purchasing E
Quality management Q
Sales V
Storage L
Storage location stocks Z
Warehouse management S
Work scheduling A

예를 들어 KVBXZ 값이 필드에 있다면 해당 자재를 각 VIEW로 확장했다는 뜻이다.

 

1.1.2 Basic Data 1, 2

  • Material (Material number) : 내부적으로(자동으로) 채번되거나 외부적으로(수기) 채번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 Descr : 자재의 이름을 나타내는 필드
  • Base Unit Of Measure : UoM은 재고를 관리할 때 쓰인다. 얼마나 재고가 있는 지 나타낼 때 쓰는 단위. 재고를 쓸 때 쓰는 단위를 SKU(Stock Keeping Unit)이라고도 쓴다.
  • Material Group : 비슷한 자재끼리 그룹화할 수 있는 필드. 앞서 조직 구조에서 Division이나 자재 생성시 설정하는 Material Type처럼 자재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여러 필드 중 하나이다.
  • X-Plant Mat.Status(cross-plant material status) : 자재의 생명주기(lifecyle) 단계를 나타내고, 그 상태가 모든 plant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될 지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값. 
  • Prod.hierarchy(product hierarchy) : 자재계층구조, 자재를 레벨별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는 필드. 최대 9레벨까지 계층 구조를 설정할 수 있다. 

3 Level 자재계층구조 예시

  • Division : SD모듈 조직구조에서 배운 Division을 뜻한다. Sales view가 아닌 basic data view에 있는 일반 데이터이다. Sales Organization과 Distribution Channel과 함께 사용되어 매출형태를 정하는 데 사용된다.
  • GenItemCatGroup :  Sales 관련 트랜잭션에서 Item Category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값이다. Sales View에도 같은 이름의 필드가 있으며 Sales 트랜잭션에서는 Sales view의 값이 우선순위가 더 높다. 즉 Sales Area별로 다른 값이 적용가능하다. SAP 전반적인 모듈에서 사용되는 값은 이 값이 적용된다.
  • Net weight and Gross weight : 출하/운송 모듈 트랜잭션에서 주로 사용되며, 순중량(제품 자체 무게), 총중량(제품+포장 무게)이다. 
  • Material Is Configurable : 체크되어 있으면 변형 제품 생성이 가능하다. 고객 맞춤형 제품에서 사용된다.
728x90

1.1.3 Sales: sales org 1, 2

  • Sales Unit : Sales Order에서 사용되는 UoM
  • X-distr.chain status(cross-distribution chain material status) : cross-plant material status와 비슷한 기능. 모든 distribution channel에 대한 상태값 
  • DChain-spec-status(distribution chain-specific material status) : 특정 Dstribution Chain에만 적용
  • Delivering Plant : 기본으로 제안되는 Sales Order의 Delivery plant 값. Sales order 생성 시 제안되는 값이라 바꿀 수 있음
  • Tax data : tax category와 tax liability를 나타냄. Tax Classification은 output tax(매출세, 부가세 등) 결정 절차에 사용된다. 이 데이터는 Sales Area별 데이터가 아닌 국가별 데이터이다. MVKE 테이블이 아닌 MLAN 테이블에 그 데이터가 있다.
  • Min.order qty(minimum order quantity) : Sales Order 생성 시 최소 수량
  • Min. Dely Qty(minimum delivery quantity) : Delivery 생성 시 최소 수량
  • Acct Assmt Grp Mat.(account assignment group for material) : 빌링처리 동안 회계전표를 생성할 때, 이 필드를 이용해 수익 계정(revenue)이나 deduction account(공제 계정)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공제 계정은 리베이트, 매출할인 등의 계정을 뜻하는 듯하다.
  • Item Category Group : Basic Data에 있는 필드와 같은 기능을 한다. 다만 Sales 프로세스에서는 이 값이 우선순위를 가진다. 
  • Product hierarchy : Basic data에 있는 필드와 같은 기능을 한다. 다만 Sales 프로세스에서는 이 값이 우선순위를 가진다.

1.1.4 Sales: General/Plant

  • Availability check : 재고 가용성 점검 방식을 정하는 기준값. MRP와도 관련이 있다.
  • Batch management : 모든 plant에서 배치 단위로 관리를 할 것인지 나타내는 값. 이 값이 한 번 설정되면 재고가 현재 혹은 이전 기간에 존재하는 경우 바꿀 수 없다.
  • Batch management(Plant) : 선택된 플랜트에서만 배치 관리를 것인지 나타내는 값. 이 값이 한 번 설정되면 재고가 현재 혹은 이전 기간에 존재하는 경우 바꿀 수 없다.
  • Trans. Grp(transportation group) : 운송 관련 기준값. 모든 플랜트에 적용되는 값
  • LoadingGrp(loading group) : Shipping condition과 deliverying plant값과 함께 사용되어 Shipping point를 정하는 데 사용된다.
  • SerialNoProfile(serial number profile) : 일련번호로 제품을 관리하기 위한 설정. 제품 일련번호의 체계를 지정하는 것임.

이외에 Additional data 탭에 들어가면 추가적인 기능이 더 있다. UoM의 변환 규칙을 정하거나, 여러 언어로 Description을 설정하거나 할 수 있다. 

삭제를 위한 flag를 조직 단위 별로 설정할 수도 있다.

 

2. Customer-Material Info Records

쉽게 말하면 상대방(고객)의 Purchase Order(구매오더)의 자재코드와 자신의 SAP 시스템의 자재 코드를 매핑하는 마스터 데이터이다. 특정 Customer의 특정 Material을 자신의 SAP 시스템의 자재코드를 미리 매핑시켜놓는 마스터 데이터이다.

  • Sales Order 생성 시 Customer Material Number에 Cust. Material 코드를 넣으면 시스템이 매핑된 Material을 찾아온다. 판매처의 구매주문을 토대로 바로 Sales Order를 생성하는 데 쓰일 수 있다.

 

3. Condition Master Data for Pricing

Sales 프로세스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Pricing(Price Determination), 즉 가격 결정에 사용되는 Conditon Master를 살펴본다. 한국어로는 조건으로 번역되지만 흔히 현업에서는 판(매)가, 거래조건 등으로 불린다. 여기서는 간단하게만 살펴보고 후에 자세히 학습한다.

Pricing Condition Records 형태로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 마스터 데이터들은 Sales 프로세스 중 Customer, Material, Quantity, Condition type, Org.unit 등 여러 기준을 통해 어떤 값이 채택될 지 결정되어 각 문서에 반영된다. 이런 식으로 여러 기준으로 가격 결정 절차를 수립하는 방법을 Condition Technique라고 부른다.

  • Pricing Condition Record를 생성할 때 Condition Type을 반드시 지정해야 한다. 이 Type 값은 해당 레코드가 나타내는 값이 gross price인지 net price인지, 혹은 discount, freight charge, tax 등 어떤 가격 결정 요소인지를 타나난다. 

 

예시)

아래와 같은 컨디션 레코드들이 있다고 가정한다.

Condition Type Sales Organization Material Value
PR00(Gross Price) 1000 XYZ $600

위 레코드의 뜻은 Sales Org이 1000이고 Material이 XYZ일 때 합계금액은 $600라는 뜻이다.

 

Condition Type Sales Organization Customer Material Group Value
DC00(Customer Discount) 1000 B M020 5%

위 레코드의 뜻은 Sales Org가 1000이고 Customer가 B이고 Material Group이 M020인 경우 5%의 할인율을 갖는다는 뜻이다.

 

Condition Type Sales Organization Customer Material Value
PN00(Net Price) 1000 A XYZ $450

위 뜻은 Sales Org가 1000이고 Customer가 A고 Material이 XYZ면 세전가격(부가세 계산 전)은 $450이라는 뜻이다.

 

단, PN00은 PR00보다 나중에 적용되어지는 값이다. 즉, PR00이 결정되고 PN00이 결정되면 PN00이 최종적용가격이다.

 

*보통 Gross Price라는 용어는 부가세 포함가격, Net Price는 부가세 제외한 가격을 뜻하지만 여기서는 부가세는 없다고 가정하고 Gross Price는 이런저런 할인 등이 적용되지 않은 최초 적용되는 기본 가격, Net Price는 최종가격으로 생각한다.

 

 

TODO

728x90

+ Recent posts